•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코리아 한겨례
  • 뉴스
  • 행사
  • 범죄신고센터
  • 크립토퀀트
  • 뉴스
Bitcoin $50,368.04 ₩57,405,496 K-Premium 1.64%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비트코인 반감기란 무엇인가?
#비트코인
비트코인 반감기란 무엇인가?
Alyssa Hertig 2020-03-28 12:00

오는 5월 비트코인은 반감기를 앞두고 있다. 반감기는 무엇이며, 가격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또 채굴자에게는 어떤 의미이며, 암호화폐 업계에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임박한 비트코인 반감기, 그 의미와 영향에 관한 모든 것을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반으로 나눈다(halvening)’는 단어는 마치 공포 영화 속 무시무시한 살인자를 연상케 한다. 하지만 이는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큰 기대를 모으는 이벤트, 곧 반감기를 가리키는 말이다.반감기가 되면 말 그대로 비트코인의 블록당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조주빈, 수사에 혼선 주려고 박사방에 가짜계좌 뿌렸다
#조주빈
조주빈, 수사에 혼선 주려고 박사방에 가짜계좌 뿌렸다
김병철 기자 2020-03-27 14:42

텔레그램에서 여성 성착취를 한 혐의를 받는 '박사' 조주빈(24)씨가 검거 전 회원들에게 다른 사람의 암호화폐 지갑주소를 공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좁혀오는 수사망에 혼선을 주기 위한 치밀한 의도였을 가능성도 있어보인다.조씨는 지난 11일 한 텔레그램 그룹에서 ‘후원금(입장료)을 입금할 주소’라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모네로 3종류의 암호화폐 지갑주소를 공지했다. 경찰 수사가 한창 속도를 내던 시기였다. 그러나 27일 코인데스크코리아의 추가 분석 결과, 이 가운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지갑은 애초부터 조씨의 소유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텔레그램 블록체인 톤(TON), 텔레그램 없이 출시될까?
#텔레그램
텔레그램 블록체인 톤(TON), 텔레그램 없이 출시될까?
Anna Baydakova 2020-03-27 08:00

미국 법원이 텔레그램의 블록체인 톤(TON, Telegram Open Network)의 출시와 그램 토큰 발행을 중지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법원의 판결은 텔레그램이 블록체인을 출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일 뿐 다른 단체도 블록체인을 출시할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20여 명의 개발자와 투자자들이 모여 있는 톤 커뮤니티 재단(TON Community Foundation)의 생각이 그렇다. 재단은 텔레그램을 배제하고 톤을 출시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톤 랩스(TON Labs)의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출신으로 재단의 창립자인 페도르 스쿠라토프

'성착취 박사방' 조주빈 암호화폐 계좌서 32억 포착
#텔레그램
'성착취 박사방' 조주빈 암호화폐 계좌서 32억 포착
박근모 기자 2020-03-25 05:00

텔레그램에 ‘박사방’을 열고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착취 범죄를 저지른 ‘박사’ 조주빈(24)씨가 박사방 거래에 이용한 암호화폐 지갑(은행계좌에 해당)에서 수십억원에 이르는 자금 흐름이 확인됐다. 경찰은 조씨 집에서 압수한 1억3천만원의 현금과 함께 이 자금도 범죄 수익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하고 있다.24일 코인데스크코리아가 조씨가 박사방에 ‘돈을 보내라’고 공지한 암호화폐 지갑을 추적한 결과, 조씨가 박사방 운영 등에 활용한 ‘이더리움’ 암호화폐 지갑에서 최대 32억원에 이르는 자금 흐름이 포착됐다. 국내 3

러시아 채굴업계, 루블 가치 하락 덕에 위기 속 선방
#러시아
러시아 채굴업계, 루블 가치 하락 덕에 위기 속 선방
Anna Baydakova 2020-03-24 16:00

세계 금융 시장이 곤두박질치면서 암호화폐 시장도 폭락 장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그러는 와중에 러시아의 암호화폐 채굴 업계는 위기에서 조금이나마 더 버틸 수 있는 호재 아닌 호재를 만났다.지난 2주간 미국 달러 대비 루블 환율이 60루블에서 80루블로 급등했다. 코로나19 사태가 경제 전반에 타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석유수출국기구의 수장 격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 감산 계획에 동의하지 않은 러시아를 압박하기 위해 원유 생산량을 오히려 늘렸다. 유가는 최근 3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폭락했고, 산유국인 러시아가 석유를 수출해 벌

비트코인, 폭락장의 피난처 ‘안전자산’ 될 수 있나
#디지털금
비트코인, 폭락장의 피난처 ‘안전자산’ 될 수 있나
김동환 기자 2020-03-24 07:00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최근 주가 그래프가 폭락한 것을 바라보며 망연자실한 이들이 많다. 투자자들의 채팅방에서 한 투자자는 “1주일 전에 팔지 않고 그냥 놔둔 대가를 이렇게 치르게 되네요”라며 후회의 심정을 토로했다. 어떤 이는 왜 자신은 하락장에도 자산을 지킬 수 있는 안전한 투자상품을 택하지 않았던가 하며 땅을 쳤다. ‘금값은 안 떨어졌다던데, 미국 국채는 좀 덜 떨어졌다던데, 왜 나는 주식 같은 위험자산에만 매달렸던가’ 한탄하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이른바 ‘안전자산’에 대한 뒤늦은 목마름이다. 경제 위기 우려가 확산되면서 전

코로나19 감시국가 우려? 이스라엘에선 비트코인도 '탈감시' 수단 아닌 까닭
#이스라엘
코로나19 감시국가 우려? 이스라엘에선 비트코인도 '탈감시' 수단 아닌 까닭
Leigh Cuen 2020-03-22 16:00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안보를 명목으로 대중 감시 체계를 대폭 강화했다. 팬데믹이 된 코로나19도 비슷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는 어느덧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이미 세계 곳곳에서 9.11 테러 이후와 비슷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지난주 이스라엘 정부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개인 휴대폰 정보 추적을 합법화하는 긴급조치 계획을 통과시켰다. 이스라엘 의회는 법안 발효에 필요한 절차를 아직 밟고 있지만,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보건부는 지난 18일 이미 휴대폰 정보 추적을 통해 바이러스에 노출된 400여

빗썸·업비트, 불황에 매출 70% 내려앉고, 세금·해킹으로 자산 수백억 줄고
#감사보고서
빗썸·업비트, 불황에 매출 70% 내려앉고, 세금·해킹으로 자산 수백억 줄고
박근모 기자 2020-03-20 17:00

지난 2년간 이어진 암호화폐 업계의 지독한 불황으로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의 지난해 매출이 각각 60~70%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19일 비덴트가 공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빗썸의 운영사 빗썸코리아는 지난해(2019년) 매출액 1447억4040만7000원을 기록했다. 이는 직전년도(2018년) 빗썸코리아의 매출액(3916억6967만9333원) 대비 63%가 줄어든 결과다.비덴트는 빗썸의 운영사 빗썸코리아 지분 10.29%(1694억8800만원)와 빗썸코리아의 지주사 빗썸홀

'0달러에 이더 구입 성공' 메이커다오 사태, 거버넌스 중요성 일깨우다
#메이커다오
'0달러에 이더 구입 성공' 메이커다오 사태, 거버넌스 중요성 일깨우다
Cathy Barrera 2020-03-19 15:00

메이커다오(MakerDAO) 네트워크는 현재 심각한 위험에 처해있다. 이더(ETH) 가격이 급락하면서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다이(DAI)를 빌려줄 때 받은 담보물의 가치가 떨어져 자동청산 시스템이 가동됐다. 지난 11일 개당 200달러 정도에 거래되던 이더 가격은 이튿날인 12일 글로벌 시장의 대혼란 속에 95달러까지 폭락했다가 현재는 110~120달러 선을 지키고 있다.이더리움 네트워크에는 이미 처리할 거래가 많이 몰려있어 오프라인 보관소 볼트(Vault)에 보관해둔 담보를 재빨리 판매할 수 없었다. 청산인 역할을 하는 자동봇 키퍼

폭락장의 '갑툭튀' 김치프리미엄 20%, 누가 가져갔을까
#김치 프리미엄
폭락장의 '갑툭튀' 김치프리미엄 20%, 누가 가져갔을까
김동환 기자 2020-03-19 13:00

하필 날짜도 '13일의 금요일'이었다. 지난 3월 13일은 대부분의 암호화폐 보유자들에게는 악몽같은 하루였다. 비트코인은 이날 1년치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최근 3년 중 최저점 수준의 가격으로 되돌아갔다. 그런데 한국 거래소를 이용하던 투자자들의 사정은 좀 달랐다. 어쩌면 다른 국가의 투자자들보다 사정이 좀 나았다고 해야할 수도 있다. 폭락장에서 한때 20%에 육박하는 '김치 프리미엄'이 형성된 탓에, 의도치 않은 가격 완충작용을 했기 때문이다. 이날 코인데스크 BPI 기준 비트코인 최저가격은 3867.09달러(한화 약 467만

떠나가네…블록체인 전문 VC들, 접거나 줄이거나
#투자
떠나가네…블록체인 전문 VC들, 접거나 줄이거나
정인선 기자 2020-03-19 09:00

암호화폐 공개(ICO)가 사실상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면서,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크립토 전문 투자사들의 신규 투자 또한 큰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블록체인 전문 A투자사는 30곳 이상의 국내외 블록체인 플랫폼과 댑 서비스, 거래소 등에 폭넓게 투자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 8월 이후 신규 투자를 사실상 중단했다. A투자사 관계자는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 시장이 사실상 모두 사라질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B투자사는 신규 투자를 지속적으로 검토 중이지만 현재 투자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코로나19발 경제 충격과 블록체인
#코로나19
코로나19발 경제 충격과 블록체인
이준행 스트리미 대표 2020-03-18 12:00

코로나19 발 금융시장의 패닉으로 인한 비트코인 가격의 단기적 등락과는 상관없이 개방형 블록체인(=암호화폐가 있는 블록체인)의 확산이 조금 더 앞당겨진 느낌입니다. 현존하는 유일 시스템인 ‘달러 중심의 기존 금융 인트라넷(은행망)’에 대한 대안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그 대안으로써 ‘암호화폐 중심의 금융 인터넷(블록체인)’이 보다 많은 이들에게 각광을 받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코로나19 발 금융시장 패닉의 본질은 ‘실물 경제와 금융 간의 괴리 심화’의 위기코

2013년 50% 폭락장 투자자가 타임머신 타고와서 지난주 폭락을 봤다면
#안전자산
2013년 50% 폭락장 투자자가 타임머신 타고와서 지난주 폭락을 봤다면
Noelle Acheson 2020-03-17 17:00

가만히 귀 기울여보면 ‘슉’ 하는 소리가 들릴 것만 같다. 이 소리는 비단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는 소리일 뿐 아니라 비트코인은 안전자산이라는 시장의 통설이 아마도 영원히 문밖으로 사라지는 소리다.지난 12일 하루 사이 비트코인 가격은 폭락했다. 하지만 역대 가장 큰 낙폭을 기록한 날은 이날이 아닌 2013년 4월 11일이었다.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하루 만에 거의 50% 가까이 폭락했다.큰 낙폭을 보인 두 사건을 비교하면 이번 주에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 분야가 앞으로 어떤 모습일지 예측하는

스펑키를 결국 만났다
#스펑키
스펑키를 결국 만났다
박근모 기자 2020-03-17 07:00

암호화폐 커뮤니티 '비트고수'와 유튜브 채널 '스펑키의 비트코인 방송'을 운영하는 ‘스펑키’ 황규훈씨가 지난 1월 초 피습을 당했다. 괴한 2명이 황씨의 자택 엘리베이터에 숨어있다 황씨를 폭행하고 도주한 사건이었다. 비트고수와의 연락을 시작으로 황씨를 알만한 주변인들 탐색과 취재를 시작했다. 복수의 취재원들은 황씨가 운영한 회원제 프로그램 '코인러너스' 회원 중 손실을 본 투자자가 벌인 일이라고 했다. 이후 취재를 진행하면서 그가 추천했던 ICO 프로젝트 가운데 67% 가격이 폭락했다는 기사를 썼다. 그가 만든 비트고수의 홍보성 문

2008년 금융위기 데자뷔?…‘팬데믹’ 세계경제 어디로 가나
#글로벌경제
2008년 금융위기 데자뷔?…‘팬데믹’ 세계경제 어디로 가나
최우성 2020-03-16 13:00

“이탈리아의 금융 시스템은 영어를 사용하지 않기에 아무 문제가 없어요.” 2008년 9월, 158년 역사를 자랑하던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가 한순간에 파산했을 때만 해도, 입담 좋은 이탈리아 재무장관의 눈엔 모든 게 단지 ‘미국의 해프닝’으로 비쳤다. 하지만 금융시장이라는 핏줄과 신경망을 타고 작은 불씨가 세계경제를 집어삼키는 초대형 화마로 돌변하는 데는 채 한달도 걸리지 않았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시작이었다. 이듬해인 2009년 미국(-2.5%), 일본(-5.4%), 유로존(-4.5%) 등 주요 나라가 받아든 성적표는 하나같이 마이

채굴형 거래소 끝내 개미지옥으로 추락하다
#채굴형 거래소
채굴형 거래소 끝내 개미지옥으로 추락하다
박근모 기자 2020-03-16 10:00

암호화폐 산업의 한페이지를 장식한 채굴형 거래소 모델이 에프코인(Fcoin)을 시작으로 여러 실패 사례만을 남긴 채 저물어 가고 있다. 트레이드마이닝(Trade-to-mine)과 거래소토큰이 거래소와 투자자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모델이라고 주장했지만, 결과적으로 지속 불가능한 모델임이 증명된 것이다. 채굴형 거래소들이 개미 지옥으로 추락하는 모양새다.지난달 17일 트레이드마이닝을 무기로 채굴형 거래소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에프코인이 1억3000만 달러(약 1570억 원) 어치의 비트코인이 부족해 파산을

파생거래소발 급락? 중단 뒤 급반등? 비트코인 롤러코스터의 '오비이락'
#비트코인 폭락
파생거래소발 급락? 중단 뒤 급반등? 비트코인 롤러코스터의 '오비이락'
김동환 기자 2020-03-13 23:00

눈을 감고 롤러코스터를 탄 기분이 이럴까.13일 오전 비트코인 개당 가격 4자릿수의 앞자리가 6에서 5로, 다시 4, 3까지 떨어졌다. 6천달러가 저지선이라는 얘기가 돌더니 이내 쑥 들어갔고, 5천, 4천도 속절없이 무너지자 침묵만 감돌았다. 오전 11시가 넘어 3700달러대가 찍히자 24시간 하락폭은 50%를 넘어섰다. '사상 최대폭 추락'이란 제목을 준비해야 했다.신기하게도 그때부터 반등이 시작됐다. 주문이 눈에 띄게 몰려들었다. 금세 5천대로 올라서는 듯 하더니, 다시 4천대로 미끌어지기를 반복하다가 저녁 8시가 되자 5500

특금법 다음 단계는? "암호화폐 금융법, 2~3년 후 도입될 수도"
#인터뷰
특금법 다음 단계는? "암호화폐 금융법, 2~3년 후 도입될 수도"
김병철 기자 2020-03-13 14:00

금융감독원 블록체인 발전포럼 자문위원인 천창민 서울과학기술대 조교수(경영학과)는 2~3년 안에 암호화폐 거래 관련법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자금세탁방지만 다루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다음으로 암호화폐 발행과 유통을 전반적으로 규제하는 법이 나올 차례라는 것이다.그는 11일 코인데스크코리아 인터뷰에서 국내에서 ICO(암호화폐공개)는 금지되어 있지만 암호화폐 유통(거래소를 통한 투자 등)은 열려있다면서 "돈이 돈다는 건 결국 금융이고, 문제가 생기면 금융당국이 계속 손 놓을 수는 없으니 거래법 관점에서 규제체제를 만들 수밖

"지금 안전자산은 현금, 미 국채 뿐…금도 비트코인도 NO"
#안전자산
"지금 안전자산은 현금, 미 국채 뿐…금도 비트코인도 NO"
김외현 기자 2020-03-13 07:50

아시아 증시에 이어 유럽·미국 증시가 폭락하면서 시장 전반에 짙은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암호화폐의 ‘안전자산’ 담론도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13일 오전 암호화폐 시세는 전날 미 증시 개장 전의 20~30% 폭락세를 넘어 40% 넘게 추락중이다. 오전 8시30분 현재 코인데스크 BPI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39% 떨어진 4850.85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45.42% 떨어진 107.61, 리플은 34.96% 하락했다.암호화폐 폭락장은 투자자들이 다른 시장에서의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대거 현금화에 나섰기 때

바이낸스는 왜 스팀 커뮤니티에 사과했나
#스팀
바이낸스는 왜 스팀 커뮤니티에 사과했나
김동환 기자 2020-03-11 18:30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10일 암호화폐 스팀(STEEM) 커뮤니티에 공식 사과했다. 이로써 스팀 블록체인의 지배력을 놓고 촉발됐던 사상 초유의 거래소-커뮤니티간 거버넌스 주도권 싸움이 다시 팽팽한 국면으로 되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바이낸스는 10일 자사 공식 블로그에 '스팀 커뮤니티에 보내는 편지'라는 게시물을 게재했다."최근 스팀잇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의사소통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다. 상황이 이렇게 된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 우리는 중립을 지킬 것이며 바이낸스 생태계를 넘어선 온체인 거버넌스에는


  • 처음처음
  • 이전
  • 이전이전
  • 11
  • 12
  • 13
  • 다음다음
  • 끝끝
Follow us
NEWSLETTER
코인데스크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광고상품 소개
Advertise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010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김병철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병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철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1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