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코리아 한겨례
  • News
  • Editor’s Pick
  • Events
  • CryptoQuant
  • News
  • Editor’s Pick
Bitcoin $37,534.68 ₩41,048,963 K-Premium 1.59%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부산 특구는 암호화폐를 비켜가지 않습니데이
#부산
부산 특구는 암호화폐를 비켜가지 않습니데이
정인선 기자 2020-08-19 07:00

부산광역시는 지난해 7월 국내 첫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됐다. 지금까지 추가된 블록체인 특구는 없었으니 국내에 유일무이한 곳이다. 그리고 1년이 지난 오늘 부산은 결국 ‘금단의 열매’를 건드리고 있다. 피할 수 없다는 걸 모두 알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과 뗄 수 없는 이 열매의 이름은 바로 암호화폐다. 신창호 부산광역시 미래산업국장은 지난 7월 공개석상에서 “부산에 건전하고 통제 가능한 토큰 이코노미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토큰 이코노미’는 블록체인의 토큰(암호화폐)을 중심으로 한 경제활동 시스템을 뜻한다. “건전하고 통

나이지리아 대중 무역 필수품 된 비트코인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대중 무역 필수품 된 비트코인
Alyssa Hertig 2020-08-18 07:00

추퀘메카 에지케 씨는 매달 중국 무역 회사에 수천달러어치 비트코인을 보낸다. 남은 자동차 부품, 건축 자재와 아버지가 30년도 더 전에 시작한 사업에 필요한 주스를 수입하고 값을 비트코인으로 치르는 것이다. 에지케는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 나이지리아 지사에서 커뮤니티 매니저로 일하며, 부업으로 가족이 꾸리는 사업을 돕고 있다.그는 비트코인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통화를 교환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다고 말한다. 게다가 시중 은행이나 금융 기관을 이용하면 하루에 1만달러 이상을 보낼 수 없지만, 비트코인을 보낼 땐 그런 금액 한도를 걱정

아스카 '이자농사' 손실 2%의 비밀
#디파이
아스카 '이자농사' 손실 2%의 비밀
박근모 기자 2020-08-16 14:00

"10시간만에 100억 모았습니다"⁞이제 서비스를 종료합니다.거짓말 같은 일이 벌어졌다. 누구나 금융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는 '탈중앙화'의 이념과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달콤한 '이자농사'(Yield Farming)의 탐욕을 노린 누군가의 손짓 하나가, 탈중앙금융(DeFi)의 허점을 제대로 드러냈다.지난 1일 늦은 밤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린이 개나리반'에서 장종찬이라는 필명의 사용자가 "YFI(와이파이) 폭탄을 제대로 만들어 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는 글을 올렸다. 그는 1시간이면 디파이를 만들 수 있고, 이내 일단

당신의 근처에서 좋은 회사를 꿈꾼다
#당근마켓
당신의 근처에서 좋은 회사를 꿈꾼다
최민영 한겨레 기자 2020-08-13 14:00

지난 4일 오후 서울 강남역 근처 당근마켓 사무실. 인터뷰 사진 촬영을 위해 회사를 상징하는 캐릭터인 ‘당근이’ 옆에 선 김용현(42) 당근마켓 대표는 입가에는 엷은 웃음을 지었지만, 표정은 그다지 밝지 않았다. 당근마켓은 올 상반기 쇼핑 앱 2위, 중고거래 앱 1위 자리에 오르며 대세로 자리 잡았고, 성공을 조명하는 기사도 연일 쏟아지고 있다. “달리는 기차의 바퀴를 갈아 끼우며 일한다”는, 가파른 성장세를 체감하며 뿌듯한 성취감을 느끼고 있을 것이란 예상과는 다른 표정이었다. 반바지에 슬리퍼 차림으로 인터뷰에 응한 김 대표는 직

아이폰 팔자고 시작한 애플페이…주객 바뀌나
#디지털자산
아이폰 팔자고 시작한 애플페이…주객 바뀌나
김동환 기자 2020-08-13 10:00

드디어 국내에서도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있을까. 애플사가 배포한 아이폰 운영체제 iOS14의 두 번째 베타 버전에 QR코드 결제 관련 이미지를 넣었다는 사실이 지난 7월8일 공개됐다. 애플 관련 전문 미디어인 나인투파이브맥(9 to 5 Mac)은 이와 관련해 아이폰 카메라로 QR코드를 읽어낸 후 애플페이에 등록된 신용카드로 요금을 지불하거나, 아이폰 화면에 뜬 바코드 스캐너로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지불하는 방식이 iOS14에서 지원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부분은 배포 시점으로부터 한달 전 열렸던 세계개발자대회(WWDC)에서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네번째 시대가 도래했다
#블록체인 거버넌스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네번째 시대가 도래했다
Stephanie Hurder 2020-08-12 07:00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장기적으로 생존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가 필수라는 주장은 프리즘그룹(Prysm Group)이 발간하는 글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주제다. 블록체인은 상당히 복잡한 기술·경제 시스템으로, 체계적이고 건축학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혁신을 이루고 프로토콜을 업그레이드하며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발맞춰 가면서 적정 수준의 탈중앙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블록체인 거버넌스의 설계는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다. 나는 블록체인 거버넌스 설계 방식이 2018년 이후 세 개의 다른

틱톡 탓하는 미국판 '만리장성 방화벽'에 가려진 진실은
#틱톡
틱톡 탓하는 미국판 '만리장성 방화벽'에 가려진 진실은
Emily Parker 2020-08-09 08:00

지난 5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인의 개인정보를 ‘악성 행위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클린 네트워크(Clean Network)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중국의 앱과 기업을 차단해 미국 안보를 지키겠다는 취지다. 미국 국무부는 성명을 내고 “미국 시민의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깨끗한(clean) 장벽을 구축하면 국가 전반의 안보를 지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이는 중국의 소셜미디어 앱 틱톡을 두고 미국 의회가 보이는 반응과 비슷하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최근 트위터에서 “모두가 틱톡을

비 오면 채굴 싸다더니…중국 채굴업체 ‘총체적 난국’
#비트코인 채굴
비 오면 채굴 싸다더니…중국 채굴업체 ‘총체적 난국’
Wolfie Zhao 2020-08-06 09:00

비 내리는 소리와 함께 기계들이 가동을 시작한다. 여느 해라면 중국 채굴업계에 가장 반겼을 계절이 찾아왔다. 보통 매년 6월에 시작해 10월에 끝나는 중국 내륙 지방의 우기다. 우기엔 비가 많이 내려 수력 발전으로 생산하는 전기료가 싸기 때문이다.그러나 올해는 다르다. 전 세계 수십억 달러 규모에 육박하는 비트코인 채굴 산업의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의 채굴업계는 유난히 힘겨운 우기를 보내고 있다.지난해 여름 수많은 채굴업체가 반감기 이후 비트코인 가격의 급등을 예상하고 중국 서남 지방에 새로운 채굴 시설을 앞다퉈 짓

FATF 트래블룰, 아프리카는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
#FATF
FATF 트래블룰, 아프리카는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
Ian Allison 2020-08-05 07:00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서 탄탄한 성장세를 기록 중인 암호화폐 기업들은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Financial Action Task Force)가 정한 자금이동규칙(travel rule) 표준을 충족하기 위해 고객의 신원을 파악하는 기준을 마련하는 데 힘쓰고 있다.암호화폐 거래소, 송금 서비스, P2P 마켓플레이스 등 아프리카의 가상자산사업자(VASP)들은 고객파악제도(KYC)를 다시 검토해 필요한 부분을 보완하고 있다. 규제 표준을 지키기 위해 다른 국가에서 라이선스를 받거나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야 할 수도 있다.

한국 밋업 역사책은 '파더리움 후예' 김약사가 쓴다
#인터뷰
한국 밋업 역사책은 '파더리움 후예' 김약사가 쓴다
박근모 기자 2020-07-31 10:00

지난 21일 저녁 7시경 여의도의 한 카페에서 블록체인 밋업 커뮤니티 '존정보'를 운영하는 김태린씨를 만났다. 인터뷰를 오후 늦은 시간에 하는 건 흔치 않은 일인데, 어쩔 수 없는 사정이 있었다. 필명 '스존'을 사용하는 김태린씨는 제약회사에 다니는 약사이기 때문이다. 낮에는 약사로, 저녁에는 블록체인 커뮤니티 운영자로, 주경야독? 국내 블록체인 밋업의 살아있는 역사로 불리는 그녀는 첫 만남부터 심상치가 않았다.일단, 첫 질문. 블록체인 커뮤니티는 어쩌다가 운영하게 됐나요? 김태린씨가 잠시 고민에 빠진다. 너무 핵심을 찔렀나? "이

[단독]정부 공인 '비트코인 기준가격' 나오나
#세금
[단독]정부 공인 '비트코인 기준가격' 나오나
김동환 기자 2020-07-28 19:00

정부가 이르면 내년 3월 암호화폐의 기준가격 제도 도입을 검토중인 것으로 확인됐다.28일 코인데스크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기획재정부는 지난주 발표한 세법개정안의 시행령에 암호화폐 '기준가격'을 산정하는 방법과 공시 주체 등을 명시한다는 데 무게를 두고 여러 방안을 숙고중이다. 내년 10월부터 실시 예정인 암호화폐(가상자산) 양도차익 과세에 기준가격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양도차익 과세의 핵심은 납세자가 암호화폐를 매수한 가격과 매도한 가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그런데 거래소 등 가상자산사업자(VASP)가 아니라 개인 소유 전

삼성페이 '갤부심 우뚝'…애플빠도 흔들었다
#디지털자산
삼성페이 '갤부심 우뚝'…애플빠도 흔들었다
김동환 기자 2020-07-28 10:00

서울 도봉구에 사는 IT기기 얼리어답터 임신혁씨(37)는 지난 10년간 거의 줄곧 애플 아이폰을 쓰다가 지난해 갤럭시 노트10으로 스마트폰을 바꿨다. 몇년째 소문만 무성하던 애플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 국내 도입이 또 다시 무산됐기 때문이다. 임씨는 "다른 나라 소비자들과 똑같은 값 내고 서비스를 이용 못하는 게 짜증났다"고 설명했다.애플 생태계를 떠나니 통화녹음과 삼성페이 등을 실생활에서 쓸 수 있었다. 이미 알고 있던 기능들이지만 체감 효용은 남달랐다. 특히 어딜 가든 지갑을 챙기지 않아 당황하는 일이 사라졌다. 한때 '

"미국 우월성 유지 위해 디지털달러 필요하다"
#디지털달러
"미국 우월성 유지 위해 디지털달러 필요하다"
Nikhilesh De 2020-07-24 09:00

미국 상원에서 디지털달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22일 미 상원 금융·주거·도시상임위는 ‘경제 분야 경쟁을 이기기 위해’라는 제목의 경제 정책 관련 청문회를 개최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발행하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가 다시 한번 최대 화제가 됐다.청문회의 상당 부분은 미-중 경제와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할애됐다. 증인 5명 가운데 4명은 암호화폐 분야와는 전혀 무관한 인물들로, 이들은 공급망 의존과 5G 등 기술을 언급했다.지난 두 차례 청문회에서는 암호화폐 관련 논의가 주축을 형성했으나,

[2020년 세법개정안] 암호화폐 세금 Q&A
#세금
[2020년 세법개정안] 암호화폐 세금 Q&A
김병철 2020-07-23 09:00

기획재정부가 22일 발표한 세법개정안을 보면,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내년 10월 매도분부터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 22%를 내야 한다. 국외 거래소에서 투자한 암호화폐도 모두 신고 대상이다. 암호화폐 관련 세법개정안 내용을 Q&A로 풀어봤다. 1. 신고기간, 방법―암호화폐 과세는 언제부터인가?2021년 10월1일 이후 발생한 양도소득부터 적용한다. 그 전의 양도소득은 과세하지 않는다.―과세 기간은?소득세법에 따라 과세기간은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1년이다.―첫 신고·납부는 언제?2022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함께 신고 후

안전한 암호화폐 지갑이란?(feat. 비트베리 해킹)
#펜타시큐리티
안전한 암호화폐 지갑이란?(feat. 비트베리 해킹)
펜타시큐리티 2020-07-20 15:00

완벽한 암호화폐 보안,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세상에 숱한 암호화폐 지갑 제조사들이 자기네 지갑만 쓰면 완벽하게 안전하다고 주장하지만, 실상과는 거리가 있다.암호화폐 지갑이란?일상에서 '지갑'은 화폐, 신용카드, 신분증 등을 넣고 휴대하는 물건이다. 그래서 '암호화폐 지갑'이라 하면 흔히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진짜 지갑 같은 물건을 떠올린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가 지갑 안에 들어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암호화폐 지갑 안에는 암호화폐가 없다. 암호화폐 지갑은 블록체인 분산원장에 기록되는 거래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특금법 뒤 거래소 4곳 남을 듯"…빗썸은?
#거래소
"특금법 뒤 거래소 4곳 남을 듯"…빗썸은?
김병철 2020-07-17 09:00

규제의 회색지대에 있던 국내 암호화폐 산업이 곧 규제 영역으로 들어와 규제를 받게 된다. 가상자산이라는 법적 지위가 생기게 되므로 제도권 진입이란 해석도 가능하겠지만 상당수 사업자가 시장에서 퇴출될 것으로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새로운 규제의 주 대상은 암호화폐 매매를 중개하고 보관해주는 거래소이며, 이들에 대한 사실상의 사업 허가가 규제의 뼈대다. 내년 3월25일 시행하는 개정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에 따라 가상자산 사업자에 속하는 거래소는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영업 신고해야 한다.(기존 사업자는 9월25일까지)

망할거라던 제로페이, 왜 잘나가는 걸까
#제로페이
망할거라던 제로페이, 왜 잘나가는 걸까
김동환 기자 2020-07-14 08:00

강남에 직장을 둔 이승민(33)씨는 최근 자신의 휴대폰에 새 알람을 지정했다. 일시는 7월 27일 오전 10시. 서울시에서 발행하는 서울사랑상품권의 강남구 물량이 풀리는 시기다. 이씨는 이 상품권이 나올 때마다 20~30만원 어치씩 사서 직장 부근에서 점심 먹을 때 제로페이로 결제한다. 상품권 자체를 액면가보다 10% 할인된 가격에 팔기 때문에 어디서 밥을 먹든 점심값이 10% 싸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알람까지 맞춰서 사야 하느냐'고 묻자 "처음에는 사람들이 몰라서 괜찮았는데 요즘은 상품권을 판매하는 제로페이 앱 서버가 다운

'밋업 시대' 저물다…신논현 디센트레 카페 폐업
#디센트레
'밋업 시대' 저물다…신논현 디센트레 카페 폐업
정인선 기자 2020-07-13 20:10

블록체인 기업 디센트레가 서울 강남구 신논현역 인근에서 운영하던 '디센트레 블록체인 카페'를 폐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동혁 디센트레 대표는 13일 코인데스크코리아에 “코로나19로 인해 블록체인 관련 오프라인 행사가 모두 중단된 탓에 사업 중단을 결정했다”고 말했다.이날 오전 방문한 디센트레 블록체인 카페는 철거 작업이 한창이었다. 주 출입문을 제외한 외부 간판과 유리문은 모두 제거됐고, 테이블과 의자, 음료 제조 시설을 비롯한 설비와 실내 바닥재도 모두 떼어낸 상태였다. 출입구의 암호화폐 인출기(ATM)에는 먼지가 수북했고, 벽에

카카오페이로 비트코인을 살 수 있다면?
#페이팔
카카오페이로 비트코인을 살 수 있다면?
김병철 2020-07-07 06:00

만약 비트코인이 필요해서 구해야 한다면 어찌할 것인가? 대개는 국내 업비트, 빗썸 같은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원화를 주고 구입하려 할 것이다. 다소 진입 장벽이 있는 ‘채굴’을 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두 길 모두 왠지 낯설다. 만약 카카오톡에 연동된 국내 대표적 간편결제 서비스 카카오페이에서 비트코인을 살 수 있다면 어떨까? 하루에도 여러 차례 들여다보는 ‘카톡’인 만큼 비트코인과 암호화폐의 구매 접근성은 매우 높아질 것이다.한국에선 가정적인 상황이지만 미국·유럽에선 현실이 된 지 오래다. 국외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들은 몇해 전

업비트가 2년만에 실명계좌 재개한 비결?
#보난자팩토리
업비트가 2년만에 실명계좌 재개한 비결?
김동환 기자 2020-07-06 19:30

지난 6월19일 국내 최대급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는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와의 제휴를 통해 새로운 실명계좌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2년 동안 답보상태였던 신규 계좌 개설도 가능해졌다.업비트-케이뱅크 제휴는 업계 관계자들에게 상당히 놀라운 소식이었다. 2018년 1월 정부가 가상통화 자금세탁방지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이래 국내 은행들과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추가적인 실명계좌 연동 제휴를 맺지 못해왔기 때문이다. 가이드라인 이전에 계약을 맺었던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4곳만 거래소 지갑과 연결된 실명계좌를 보유하고 있었


  • 처음처음
  • 이전이전
  • 1
  • 2
  • 3
  • 4
  • 5
  • 6
  • 7
  • 다음다음
  • 끝끝
Follow us
코인데스크코리아 뉴스레터
코인데스크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채용
  • 한국
    • US
    • CHINA
    • JAPAN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010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김병철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병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철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1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