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코리아 한겨례
  • 뉴스
  • 행사
  • 범죄신고센터
  • 크립토퀀트
  • 뉴스
Bitcoin $50,274.84 ₩57,413,747 K-Premium 1.64%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미 법무부, ‘암호화폐 규제’ 보고서 발표
#규제
미 법무부, ‘암호화폐 규제’ 보고서 발표
Nikhilesh De 2020-10-11 07:00

미국 법무부는 암호화폐가 법 집행 기관에 도전과제가 되고 있다는 내용의 '암호화폐 규제 보고서'를 지난 8일 공개했다.법무부 사이버 디지털 테스크포스가 작성한 '암호화폐: 규제 이행 프레임워크(Cryptocurrency: An Enforcement Framework)'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는 암호화폐의 정의 뿐만 아니라 합법과 불법 사례를 포함해 활용 가능한 이용사례들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합법 사례를 다룬 부분이 분량이 더 짧고, 회의적이긴 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암호화폐는 그동안 테러 지원과 불법 물품 구매, 협박, 갈취

2030년 돈의 모습은 지금과 다를 것이다
#CBDC
2030년 돈의 모습은 지금과 다를 것이다
Alex Tapscott 2020-10-08 07:00

우리가 일을 제대로 해낸다면, 2030년에는 경제와 문명의 근간인 돈은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달라져 있을 것이다. 현대인은 현재의 돈(정부와 중앙은행에서 발행하고 통제하는 법정화폐)에 지나치게 익숙해져 있어서 돈이 정기적으로 격변을 겪는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곤 한다. 우리는 대격변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인류의 가장 위대하고도 오래된 발명품인 돈이 점점 디지털화되기 시작한 것이다.국가와 글로벌 기업, 자라나는 디지털 시민사회가 우리의 경제생활의 생명선을 두고 경쟁하기 시작하면서, 앞으로 10년이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다. 각 이해

[핀테크피디아] 페이에서 대출까지, 금융플랫폼 꿈꾸는 네이버
#네이버
[핀테크피디아] 페이에서 대출까지, 금융플랫폼 꿈꾸는 네이버
김병철 2020-10-01 11:30

1. 요약네이버파이낸셜은 네이버의 금융 자회사다. 간편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를 담당하는 CIC(사내독립기업)가 2019년 11월 분사했다. 금융회사와 제휴를 통해 간편결제를 넘어 투자상품, 보험, 예·적금 등을 제공하는 금융 플랫폼을 목표로 한다. 지난 6월 '네이버통장'을 출시했다. 2. 연혁2015년 6월 네이버페이 출시2018년03월 환전 서비스 시작 (with 신한은행)12월 네이버페이 오프라인 QR결제 시작 (with 제로페이)2019년04월 퀵에스크로 서비스 시작 (with 미래에셋캐피탈)06월 일본 오프라인 QR결제

중국은 왜 ‘디지털 위안화’에 박차를 가하나
#중국
중국은 왜 ‘디지털 위안화’에 박차를 가하나
최현준 한겨레 기자 2020-09-29 07:00

중국 장쑤성 쑤저우 공무원 일부는 디지털 화폐로 봉급을 받는다.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PBC)이 발행하는 디지털 위안화다. 이 디지털 위안화가 스마트폰의 ‘전자지갑’에 꽂히면, 이것으로 맥도날드나 스타벅스에 가서 음식과 음료를 사 먹고, 공유차량 ‘디디추싱’을 이용할 수 있다. 서점에서 책을 사거나 호텔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지폐와 동전의 ‘종말’이 성큼 다가오고 있다. 이미 신용카드와 모바일 결제로 지폐나 동전 쓸 일이 현저히 줄었지만 차원이 다른 변화가 물밑에서 진행되고 있다. 각국 중앙은행이 직접 디지털 화폐를 만들어

국내 1위 블록체인 매체의 비결은?
#코인데스크코리아
국내 1위 블록체인 매체의 비결은?
김예람 Xangle 팀장 2020-09-28 07:00

편집자 주. 독자 여러분의 뜨거운 관심 속에 연재되고 있는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터뷰, 이번엔 특별히 코인데스크코리아에 대한 자성의 순서를 마련했습니다. 공정성을 위해 글에 손을 대지 않겠다는 전제로 외부 인터뷰어를 위촉해서 취재 및 기사화를 진행했습니다. 시간 내주신 '국내 최고의 공시데이터 기반 가상자산 정보포털 서비스' 쟁글의 김예람 팀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바로 앞 문장의 '국내 최고…'는 절대로 아부 아닙니다.“발을 담고 있는 산업에 비가 오든 해가 쨍쨍하든, 저널리즘이 저널리즘답게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하면 매체의 존

유니스왑 양말이 600만원에 팔리는 이유
#유니스왑
유니스왑 양말이 600만원에 팔리는 이유
김동환 기자 2020-09-24 14:27

블록체인 업계에는 기존 금융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던 이색적인 일들이 비교적 많이 벌어진다.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유니스왑(Uniswap)는 자체 기획상품으로 내놨던 양말 유니삭스(Unisocks)를 최근 켤래당 5331달러(한화 약 623만원)에 팔기 시작했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양말 중 하나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유니스왑은 지난 17일 거버넌스 토큰인 유니(UNI)를 발행하면서 대규모 에어드롭(토큰 무료 증정)을 했다. 우선 올해 9월1일 전까지 한번이라도 유니스왑을 이용해 본 적이 있는 지갑마다 400유니가 지급됐다.

이재명 지사의 지역화폐 정책이 보완할 것
#지역화폐
이재명 지사의 지역화폐 정책이 보완할 것
김외현 2020-09-21 06:00

지역화폐의 효용에 대한 비판과 이에 대한 이재명 경기지사의 반론이 반복되면서 설전이 뜨겁다. 이 지사는 성남시장 시절 지역화폐 ‘성남사랑상품권’을 청년배당, 산후조리비, 생활임금 등 복지정책에 적용해 활성화에 꽤 성공했다. 그가 지사가 된 뒤 경기도는 도내 전역에서 쓸 수 있는 ‘경기지역화폐’를 출시했고, 이는 올해 상반기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수단으로 쓰였다. 지역화폐가 성남시와 경기도에만 있는 건 아니지만, 이 지사로서는 여러 정책의 값진 수단이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쉬이 물러서지 않을 거란 얘기다. 한국조세재정연

디파이 열풍의 원동력 “평범한 사람도 부자 될 수 있다”
#디파이
디파이 열풍의 원동력 “평범한 사람도 부자 될 수 있다”
Leigh Cuen 2020-09-18 16:00

디파이(DeFi, 탈중앙금융) 열풍을 이끄는 건 분명 이더리움 고래들이다. 그러나 디파이 트렌드를 통해 돈을 버는 이들은 평범한 사람들이다.본인을 조라고 불러 달라고 요청한 한 거래자는 수학을 전공하는 캐나다의 대학생이다. 조는 올해 이더리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수십만달러를 벌었다. 그러나 거래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조는 1년 정도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해오고 있다.“나는 암호화폐 고래는 아니지만, 내가 사용하는 디파이 프로토콜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사용자 중 한 명이다. 예전에 디파이의 규모가 더 작았을 때는 경쟁이 훨씬

DAXPO2020 총정리합니다
#DAXPO2020
DAXPO2020 총정리합니다
김병철 2020-09-16 06:00

## 아래 기사들은 16일치 한겨레 지면과 인터넷한겨레에도 실렸습니다.은행, 수탁, 자산운용…전통금융, 디지털 자산에 손을 뻗다KB국민은행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NH농협은행 등 수탁 컨소시엄 구성“시기의 문제지만 디지털 자산은 기존 금융자산을 융합하고 일부는 대체할 것이다.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부동산, 금, 자동차도 앞으로 모두 디지털 자산화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금융기관이든 이걸 어떻게 선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느냐에 따라 앞으로 판도가 바뀔 것이다.” 조진석 케이비(KB)국민은행 아이티(IT)기술혁신센터장의 발언에는 새로운 자

디파이의 빛과 그림자
#디파이
디파이의 빛과 그림자
Kapil Rathi 2020-09-10 16:00

카필 라티는 암호화폐 거래소이자 구조화 금융상품(structured products) 제공사인 크로스타워(CrossTower)의 CEO이다. 크로스타워에 앞서 라티는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 배츠(Bats), 국제거래소(ISE),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임원을 지냈다.-----모든 사람이 탈중앙금융(DeFi, 디파이)과 사랑에 빠졌다. 다들 들떠서 어쩔 줄 모른다. 그중 탈중앙화 거래소의 인기가 유독 뜨겁다. 0x, 유니스왑(Uniswap), 카이버(Kyber) 같은 탈중앙화거래소는 P2P 거래 모델을 통해 중앙화 거래소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자산 투자 전략은
#DAXPO2020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자산 투자 전략은
김동환 기자 2020-09-10 09:00

몇달 전부터 가격이 급등하면서 과열됐다는 평을 받는 '탈중앙지향' 금융(디파이, De-Fi) 시장의 거품이 이자농사(Yield Farming) 프로젝트들에서 터질 위험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암호화폐 벤처캐피탈 해시드의 김서준 대표는 코인데스크코리아와 한국블록체인협회가 공동주최한 디지털자산박람회(DAXPO)2020의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자산 산업 투자의 전략' 패널 토론에서 "최근에 나온 이자농사 프로젝트들의 위험성이 높다"며 "특히 감사(audit)가 안 된 스마트계약 시스템에 몇천억원 단위로 돈이 몰리는데 이건 굉장히 위험

암호화폐 '고래'의 흔적만 잘 봐도 돈을 벌 수 있다
#DAXPO2020
암호화폐 '고래'의 흔적만 잘 봐도 돈을 벌 수 있다
김동환 기자 2020-09-10 09:00

올해 3월은 글로벌 자산 투자가들에게는 악몽같은 달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가 가시화되면서 주식 가격이 1월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비트코인 가격도 3월 12일 하루만에 52% 폭락했다. 다른 암호화폐들도 덩달아 폭락했다. 흥미롭게도 폭락 며칠 전 암호화폐 시장의 이같은 변화를 예측한 데이터 기업이 있었다. 국내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인 크립토퀀트다. 이들은 그 뒤에도 크고 작은 시장의 가격 변화를 짚어내는 '신기'를 보였다.어떻게 한 걸까. 크립토퀀트 주기영 대표는 코인데스크코리아와 한국블록체인협회가 공

블록체인이 '부의 편중'을 해소하리라
#STO
블록체인이 '부의 편중'을 해소하리라
정인선 기자 2020-09-07 19:00

부동산 집합투자는 왜 '공모형' 펀드는 잘 보이지 않고, '사모형' 형태의 펀드만 눈에 띌까?한국금융연구원이 지난 5월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말 54조원 규모였던 국내 부동산간접투자상품 시장 규모는 약 4년만인 올해 4월말 3배 수준인 160.5조원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이 가운데 부동산펀드의 기간수익률은 최근 1년 7.48% 수준으로 주식형 펀드 등에 비해 높은 편이다. 그러나 대부분 폐쇄적인 사모 펀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달 14일 코인데스크코리아와 만난 박효진 세종텔레콤 신사업본부장은 부동산 사모 펀드에 비

FAANG의 독주를 무슨 수로 멈출 것인가?
#돈을 다시 생각하다
FAANG의 독주를 무슨 수로 멈출 것인가?
Michael J Casey 2020-09-07 12:00

자산 규모가 1천~6천만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진 월드와이드웹(WWW)의 창시자 팀 버너스 리는 많은 사람의 부러움을 산다. 하지만 이 정도 자산은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조스 앞에서는 ‘한 줌’에 불과하다. 베조스는 지난주 세계에서 처음으로 자산 규모 2천억달러를 넘긴 부자가 됐다.여기엔 다소 이상한 점이 있다. 세계를 바꿔놓은 정보 시스템을 개발한 사람이 그 시스템 안에 있는 총 20억 개 웹사이트들 중 하나를 관리하는 사람이 벌어들인 돈의 0.03%밖에 벌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베조스는 아마존닷컴(Amazon.com)을 통해

대선의 해 2020년에도 잠잠한 예측시장, 왜?
#예측시장
대선의 해 2020년에도 잠잠한 예측시장, 왜?
Benjamin Powers 2020-09-04 07:00

2020년은 예측시장이 빛을 발할 절호의 기회다.미국이 코로나19 팬데믹과 시민사회 소요, 한 세대 만에 찾아온 높은 실업률 문제로 몸살을 겪고 있는 와중에 진보와 보수 모두 국가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는 대통령 선거가 두 달 앞으로 다가왔다.지난 2016년 대선 당시 전통적인 여론조사 기관과 전문가들이 선거 결과를 얼마나 잘못 예측했었는지 생각한다면, 미래에 대비해 전략을 세우려는 사람들이 예측 지표로서 다른 대안을 찾아 나서는 건 당연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미국 전역을 휩쓸고 있고 그로 인해 현장 투표에

'토큰이코노미 플랫폼' 노리는 페이코인, 밀크와 제휴 발표
#댁스포2020
'토큰이코노미 플랫폼' 노리는 페이코인, 밀크와 제휴 발표
박근모 기자 2020-09-03 08:40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페이코인(Paycoin)이 밀크(MilK)와 손잡고 암호화폐 기반 금융 서비스 플랫폼을 도모한다고 3일 밝혔다.페이코인을 운영하는 다날핀테크(통합결제 서비스 기업 다날의 블록체인 자회사)에 따르면, 암호화폐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를 운영하는 밀크파트너스와 파트너 기업 유치 및 암호화폐 관련 공동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지난 1일 체결했다.페이코인은 국내에서 암호화폐를 실제 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다. 다날핀테크에 따르면, 페이코인 가입자 수는 75만 명에 달하며, 구글 플레이스토어

거래소 서비스 정지로부터 로빈후드가 배울 것들
#서비스 정지
거래소 서비스 정지로부터 로빈후드가 배울 것들
Muyao Shen 2020-09-03 08:00

코로나 19 팬데믹이 온 뒤로 암호화폐 거래소와 슈왑(Schwab), TD아메리트레이드(TD Ameritrade), 로빈후드(Robinhood) 같은 유명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 새로 진입한 투자자가 급속히 늘고 있다. 그중 대다수는 집에서 재택 근무하는 젊은 투자자다. 근무시간 중 일부를 할애해 거래하는 것이다.암호화폐 거래소와 온라인 거래 플랫폼 간에는 공통점이 있다. 거래량이 많을 때 시스템이 멈춘다는 것이다.지난달 31일 로빈후드 고객들은 로그인 문제를 겪었다. TD아메리트레이드와 슈왑을 포함한 다른 플랫폼에서도 같은 문제가

"부산 고등어의 물류 신선도는 블록체인으로 보증된다"
#부산
"부산 고등어의 물류 신선도는 블록체인으로 보증된다"
정인선 기자 2020-09-01 09:00

공급망관리는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검토하는 대기업들이 가장 눈독 들이는 분야 중 하나다. 다수의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가운데, 단계마다 데이터가 위·변조될 위험을 막아주면서, 최종 단계에서 유통 이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기 때문이다.지난해 7월 부산광역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1차 규제특례 대상에 선정돼 9월 실증 돌입을 앞둔 블록체인 수산 물류 플랫폼도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공급망관리 효율화를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을 주도하는 부산 기반 기업 비피앤솔루션은 본래 무선주파수인식기술(RFID)과 사물인터넷(IoT)을

[단독] 특금법 시행령 초안이 완성됐다
#규제
[단독] 특금법 시행령 초안이 완성됐다
김병철 2020-08-27 18:30

암호화폐(가상자산) 사업자 규제를 골자로 지난 3월 국회에서 개정된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의 시행령에 대한 금융위원회의 일부 개정안 초안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금융위, 법무부, 기재부, 과기부 등 관계 부처 실무진은 25일 회의를 열어 시행령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 소관부처인 금융위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이들 부처의 의견을 다시수렴한 뒤 최종안을 만들어 입법예고를 할 예정이다.개정 시행령 입법예고는 빠르면 9월 둘째주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코인데스크코리아와 전화통화에서 "첫째주는 어렵지만 9월

이더리움2.0이 암호경제 흔든다
#이더리움2.0
이더리움2.0이 암호경제 흔든다
박근모 기자 2020-08-27 09:00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기준으로 현재의 토큰이코노미(암호경제)를 뿌리째 흔들어댈 이더리움2.0이 등장한다.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과 이더리움 기반 토큰(ERC-20) 발행 기능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 생태계에 ICO 붐을 일으켰다. 또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저마다 독특한 암호경제를 내세운 프로젝트가 등장하며, 비트코인과 함께 현 암호경제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디파이(Defi) 서비스가 부상함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관심이 크다. 이런 상황에서 이더리움2.0의 등장은 전체 암호경제에 지각변동을


  • 처음처음
  • 이전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다음다음
  • 다음
  • 끝끝
Follow us
NEWSLETTER
코인데스크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광고상품 소개
Advertise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010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김병철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병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병철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1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