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정렬 최신순 오래된순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시작 년월일 부터 마지막 년월일 까지 내년 하반기 경기 둔화가 예상된다 #칼럼 내년 하반기 경기 둔화가 예상된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 2021-07-25 21:49 미국 등 주요국 경제에서 물가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도 시장금리는 장기금리를 중심으로 하락하고 있다. 앞으로 경제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이야기다.어떤 경제지표로 경기를 판단할 수 있을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기선행지수, 그 가운데서도 한국의 경기선행지수가 미래의 글로벌 경제를 내다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오이시디는 매월 37개 회원국 외에 중국을 포함한 주요 신흥국의 경기선행지수를 작성해 6~9개월 후의 경기 흐름을 예측한다. 그런데 한국의 경기선행지수가 오이시디 종합지수뿐만 아니라 주요 국가나 지역의 선행 미국 금리는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칼럼 미국 금리는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 2021-03-09 14:34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미국의 시장금리(10년 국채수익률)가 얼마나 올라갈 것인가에 있다.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나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금리가 추세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이론적으로 명목금리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의 합 즉, 명목 지디피 성장률과 같다. 실제로 지난 1990~2020년 통계를 보면 시장금리 평균이 4.4%로 명목 경제성장률 4.3%와 거의 비슷했다.그러나 2000년 이후로는 금리와 경제성장률 평균이 각각 3.3%와 3.8%로 금리가 더 낮았다. 실물 경제에 비해 통화량이 원화 가치 상승기에 주가도 같이 올랐다 #환율 원화 가치 상승기에 주가도 같이 올랐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 2020-10-19 09:02 지난 3월 1286원까지 올라갔던 원/달러 환율이 최근에는 1140원대까지 떨어졌다. 환율 결정요인으로 보면 원화 가치 상승 추세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원화 가치가 상승할 때 주가도 올랐었다.과거 통계로 분석해보면 미 달러 가치, 위안/달러 환율, 한미 실질금리차이, 한국 경상수지 등이 원/달러 환율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우선 2월 이후 달러 가치가 주요국 통화에 비해서 10% 정도 하락했는데, 미국 경제의 불균형 해소 과정에서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2008년 이후 두 번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 증시로 몰린 돈, 개인 금융자산 변화 신호 #증시 증시로 몰린 돈, 개인 금융자산 변화 신호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 2020-08-24 08:00 올해 들어 주식시장으로 개인 자금이 대폭 유입되면서 주가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주식 배당수익률이 은행 예금금리보다 높아지고 있는 만큼 개인의 금융자산 가운데 주식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의 자금순환에 따르면 2020년 3월말 현재 우리나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금융자산은 3976조원이었다. 구성 내용을 보면 현금 및 예금 비중이 46.5%(1849조원)로 가장 높고, 그 다음에 보험 및 연금 33.0%(1311조원), 주식(투자펀드 포함) 16.3%(647조원), 채권 3.5%(139조원) 순서로 나타났다. 개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