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 US
    • CHINA
    • JAPAN
코인데스크 코리아
  • 뉴스
  • 행사
    • 똑
    • 똑
    • 하
    • 게
    • 투
    • 자
    • 하
    • 는
    • 방
    • 법
    프리미엄
  • 더보기
    • 범죄신고센터
    • 크립토퀀트(CQ)
  • 지금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어요
    #한국디지털애셋#국채#아프리카#blockfi#디엠#FIU#ftx
지금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어요
#한국디지털애셋#국채#아프리카#blockfi#디엠#FIU#ftx
  • 뉴스
  • 행사
  • 프리미엄
    • 범죄신고센터
    • 크립토퀀트
    Follow us
    Bitcoin $21,166.85 ₩27,485,037 K-Premium 1.27%
    정렬
    전체 1일 1주 1개월 1년 직접입력
    부터
    까지
    페이스북 리브라, 블록체인 업계에 무임승차 혜택 줄 것
    #페이스북
    페이스북 리브라, 블록체인 업계에 무임승차 혜택 줄 것
    정승원 2019-06-21 19:00

    6월 18일 페이스북(블록체인 자회사 Calibra)은 블록체인 리브라의 백서와 테스트넷이 공개했고, 2020년 상반기 메인넷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글로벌 대기업에서 진행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답게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일반 대중을 위한 백서 이외에도 여러 기술문서들도 상당히 잘 마련되어 있다. 그 중에 메인 기술문서라고 할 수 있는 ‘The Libra Blockchain’에는 무려 53명의 저자가 올라와 있으며, 그 중에 필자가 페이스북에서 일할 때 같은 시기에 같은 팀에 입사한 동료도 두 명이 포함되어 있어 안부를 주

    블록체인 기반 소셜미디어가 기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
    #스팀잇
    블록체인 기반 소셜미디어가 기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
    정승원 2019-05-13 18:00

    앞으로도 종종 스팀잇과 연계된 이야기를 할 기회가 있겠지만 연재로서는 어느덧 스팀잇 토큰 이코노미 마지막 글이다.연재 초기에도 밝혔지만, 필자는 개발자 경력도 가지고 있다. 안랩에서의 병역특례 때는 개발이 주된 업무였고 페이스북과 AOL에서도 주요 업무인 리서치 외에 프로그래밍도 일부 했다.아무래도 이제는 본업이 개발자가 아니다 보니 취미 삼아 가끔 하는 프로그래밍은 오히려 재미있었다. 그 때문인지 스팀에 코드 기여가 제법 많아졌다. 필자가 직접 만든 간단한 서비스들 외에 스팀 블록체인 코어 수정사항도 최근 승인이 나서, 다음 하드

    광고·중앙화 큐레이션·유료구독...스팀잇이 살 길은?
    #박영선
    광고·중앙화 큐레이션·유료구독...스팀잇이 살 길은?
    정승원 2019-04-18 08:00

    지난 '누구나 쉽게 돈 벌 수 있다고 생각할 때 내리막이 시작된다' 편에서 스팀잇 보상모델의 여러가지 한계에 대해서 설명했다. 애초에 스팀잇이 꿈꾸던 Proof-of-Brain이란 이상향은 인간의 이기심을 너무 우습게 본 것이다. 실명이면 체면을 생각해서라도 모를까, 익명이라면 더할 나위없이 인간은 본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한다. 죄수의 딜레마에 의해 PoB 자체가 불가능하다.결론적으로 현재 스팀잇과 같은 탈중앙화 PoB 방식은 절대 불가능하다. 아래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저자와 수익이 배분되는 광고 도입 및 중앙화된 큐레이션이 현실

    스팀잇이 진정한 탈중앙화를 향한 첫걸음을 뗐다
    #스팀잇
    스팀잇이 진정한 탈중앙화를 향한 첫걸음을 뗐다
    정승원 2019-03-26 10:35

     이번 글에서는 탈중앙화를 향한 스팀잇의 변화를 소개하려 한다.블록체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암호자산(암호화폐) 그리고 탈중앙화라는 키워드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블록체인이 암호자산의 소유구조 중앙화는 논외로 하더라도 거버넌스 면에서도 많이 중앙화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그중에서도 특히 위임지분증명(DPoS, Delegated Proof-of-Stake) 기반의 블록체인은 이름 그대로 지분에 비례한 투표를 받은(즉 권리를 위임 받은) 주체가 블록 생성자(스팀에서는 증인(Witness), EOS에서는 Block P

    누구나 쉽게 돈 벌 수 있다고 생각할 때 내리막이 시작된다
    #스팀잇
    누구나 쉽게 돈 벌 수 있다고 생각할 때 내리막이 시작된다
    정승원 2019-02-14 14:02

     이전 편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보상 모델에 대해 2부에 걸쳐 알아본다. 1부에서는 주로 문제점을 서술하고 2부에서는 현실적인 대안에 대해서 다룰 계획이다. 스팀잇의 보상 모델: 두뇌증명(Proof-of-Brain)이란?스팀잇은 보팅을 통해 보상이 주어지는 소셜 네트워크이다. 스팀잇에 올린 글이 보팅(추천)을 받으면 암호화폐로 보상받을 수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보팅을 한 사람에게도 보상이 돌아간다는 점이다. 지적 활동을 통해 좋은 글을 쓰거나(저자보상) 좋은 글을 발굴하면(큐레이터 보상) 보상을 주겠다는 게

    완전한 탈중앙화 소셜미디어는 원래 불가능하다
    #이오스
    완전한 탈중앙화 소셜미디어는 원래 불가능하다
    정승원 2019-01-03 14:15

     블록체인 생태계의 격동기였던 2018년을 마무리하고 2019년을 맞이하며 완전한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란 불가능하다는 필자의 생각과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염두에 둬야 할 점들을 3부에 걸쳐 정리해본다. 1부는 완벽한 탈중앙화의 불가능함, 2부는 스팀잇 같은 저자/큐레이터 보상 모델의 경제학적 한계, 3부는 기술적인 부분을 포함한 나머지 이야기를 담을 계획이다.필자는 과거 페이스북 본사에서 '뉴 팩컬티 펠로우'로 광고 쪽 연구를 했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블록체인 기반 SNS/블로그 서비스인 스팀잇에 많은 관심

    스팀 토큰 구조와 스팀달러에 대한 3가지 오해
    #스팀
    스팀 토큰 구조와 스팀달러에 대한 3가지 오해
    정승원 2018-12-07 11:18

    최근 네드 스콧 스팀잇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스팀잇 직원 70%를 해고했다는 글을 스팀잇에 올렸다.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걸친 하락세와 더불어 현재 스팀잇의 지속가능성 여부에 많은 의문이 생긴 상황이다.지난 글 '경제학자의 눈으로 스팀잇을 들여다보다'를 읽은 독자라면 느꼈겠지만 필자는 현재의 스팀잇에 수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한 발 더 나아가 다크웹이 아닌 이상 완전히 탈중앙화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란 애초에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 연재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단순히 스팀잇을 예제로 토큰 경제를 설명

    경제학자의 눈으로 스팀잇을 들여다보다
    #스팀잇
    경제학자의 눈으로 스팀잇을 들여다보다
    정승원 2018-11-16 07:05

     앞으로 스팀잇(https://steemit.com)을 가지고 토큰 이코노미에 대한 이야기를 연재할 계획이다. 스팀잇은 STEEM이란 블록체인을 통해 서비스 되는 SNS/블로그 서비스로, 글을 써서 추천을 받거나 심지어 추천을 해도 암호화폐를 지급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물론 보상은 일정 조건이 충족된다는 전제하에 지급된다.)스팀잇을 이 글의 대상으로 택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먼저 현재 암호화폐가 화폐나 투자수단 외의 용도(즉 그야말로 암호화폐보다 암호자산이란 말이 더 어울리는)로 실생활에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쓰이는 사실상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의 안정성
    #정승원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의 안정성
    정승원 2018-10-11 14:13

    지난 글에서 예고한 대로 이번 글에선 (퍼블릭) 블록체인의 안정성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다룰 것이다. 작업증명 방식의 비트코인을 주 예제로 사용하겠지만 다른 합의메커니즘에도 비슷한 논리가 적용될 수 있다.시작하기에 앞서 “블록체인이 안전하다, 해킹이 불가능하다”라는 말을 할 때 그 안정성을 어떤 관점에서 말하는지를 명확히 해야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블록체인의 안정성을 기술적 관점만이 아닌 실사용적 측면까지 생각한다면 대략 다음과 같은 분류가 가능하다. 암호화폐 주소에 대한 개인키 관리/전자지갑 소프트웨어의 안정성 거래소의 안

    여전히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뗄 수 있나 궁금하세요?
    #정승원
    여전히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뗄 수 있나 궁금하세요?
    정승원 2018-09-18 10:38

     이번편에서는 블록체인이란 용어 자체에 대해 설명하고 다음편에서는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의 안정성에 대해 이어 쓸 계획이다. 블록체인: 거래 내역을 담은 블록을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분산 저장한 것블록체인. 영어로는 blockchain이라고 쓴다. 아마 블록체인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 필자에게 블록체인이 뭔지 한 문장으로 설명해달라고 한다면 이렇게 답할 것이다. “거래 내역을 담은 블록을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이를 분산 저장한 것”이라고. 실제 필자의 초보자용 유튜브 강의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물론 여기에 하나씩 살을 붙여

    암호화폐 vs 가상화폐 : 그 해묵은 논쟁에 대하여
    #암호화폐
    암호화폐 vs 가상화폐 : 그 해묵은 논쟁에 대하여
    정승원 2018-08-20 18:25

    한동안 불었던 비트코인 투기 광풍이 지나갔다. 이제는 사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중요한 기술임을 (그러나 만능의 기술이 아니라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기술임을) 인정하는 분위기이고, 코인 투자 그 자체보다 근본적인 기술 발전과 또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건전한 환경 조성을 위한 법제안 마련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코인데스크코리아에 글을 연재하기로 하고 첫글을 어떤 내용으로 쓸지 고민을 많이 했다. 바로 암호경제학/토큰 이코노미 전반에 대해 쓸지, 아니면 그 중에서도 좀 더 세부적으로 필자의 주


    • 처음처음
    • 1
    • 끝끝
    Follow us
    NEWS LETTER
    코인데스크 코리아
    RSS 회사소개 편집원칙 문의 <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광고상품 Advertise
    • 22세기미디어㈜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한화생명보험빌딩) 709호
    • 등록번호 : 서울, 자00548
    • 등록일 : 2018-02-26
    • 발행인 : 유신재
    • 편집인 : 박근모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박근모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근모
    • 대표 전화 : 070-7774-7906
    • 문의 : master@coindeskkorea.com
    • Coindesk Korea™️ is owned and operated by 22nd Century Media Co., subsidiary of Hankyoreh Co., Ltd., in collaboration with Coindesk, Inc., the leading digital news, ev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for the crypto asset and blockchain technology.
    • Copyright © 2022 22nd Century Media.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