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지방선거에서 한 여성 유권자가 투표를 하고 있다. 한겨레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1 공동주택에 거주중인 A씨는 이번에 동별 대표자 선거를 온라인투표를 이용해 투표를 진행한다고 들었다. 그러나 전자투표다보니 혹시 누군가가 해킹을 통해 내가 투표한 내역을 위·변조하여 투표결과를 조작할 것 같아 불안하다.

#2 대학교 학생회장으로 입후보한 B학생은 온라인투표로 진행한 이번선거에서 1표 차이로 낙선했다. 개표결과가 아쉬워서 혹시나 오류로 인해 표가 누락되지는 않았는지 직접 확인해보고 싶었으나 온라인투표다보니 실제 투표용지가 없어 이번 선거결과가 정확한지 직접 확인할 길이 없었다.

온라인 투표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다면, 이같은 불안감이 해소돼 온라인 투·개표 결과의 신뢰성과 활용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이미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과기정통부)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권순일, 중앙선관위)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투표 시스템의 개발을 12월까지 완료하고, 향후 시범적으로 민간분야 투표 및 설문조사 등에 온라인투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6월에 발표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의 핵심 추진과제인 '6대 공공시범사업' 중 하나로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협업하여 올 초부터 진행해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운영 중인 온라인투표시스템(K-Voting)의 경우, 정당 당대표경선이나 아파트동대표선거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올해 10월 말까지 총 564만명(4516건)이 이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해킹 조작 등 투·개표 결과의 위·변조 의혹이나 불신 때문에 여전히 온라인투표보다 종이투표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투표시스템'은 유권자 인증부터 투표결과 저장 및 검증 등 전 과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온라인투표에 비해 투명성과 보안성을 대폭 강화했다고 중앙선관위 측은 설명했다.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투표시스템은 모바일, PC 등을 이용한다는 점은 기존 방식과 동일하나 투표 관련 정보의 저장방식이 중앙집중형에서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시스템으로 바뀐다. 블록체인 기술은 해킹 등 공격시도가 있어도 저장된 데이터의 위·변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온라인투표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해관계자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아 분산 저장된 투·개표결과를 직접 비교·검증할 수 있다.

중앙선관위는 오는 12월 초까지 금융투자협회 및 서울대학교 블록체인학회,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 의견수렴에 나설 계획이며,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투표시스템(K-Voting)에 적용할 예정이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온라인투표 전 과정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하여 투표의 익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블록체인 기술이 투표와 같은 상호 신뢰를 최우선으로 하는 영역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