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담 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을 비롯한 인터넷 신산업 기반 조성에 적극 나선다고 밝혔다. 김석환 한국인터넷진흥원장은 8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간담회를 열고 “정보보호산업과 데이터 경제, 블록체인 등 새로운 산업에서 새로운 생태계가 구축되고,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석환 한국인터넷진흥원장이 8일 기관장 간담회에서 2019년 사업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KISA 제공

김 원장은 “가상통화(암호화폐) 외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블록체인 활용 성공 사례를 발굴할 계획”이라며,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간 연관성이 없다는 기존 정부 입장을 명확히 했다. 김 원장은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장점인 개방성, 투명성, 이력추적성과 잘 맞는 사업 분야에서 KISA가 마중물 역할을 해, 국민들이 빠르게 변화를 체감하도록 할 것”이라며, “지난해 공공 분야 블록체인 시범사업 여섯 개를 진행했다. 올해 하반기 정도면 아마 그 가운데 한두 개 정도를 통해서는 국민들이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다 준) 변화를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올 긍정적 변화를 가장 빨리 체감할 수 있는 영역으로 해외 직구 플랫폼을 꼽았다. 김 원장은 “지난해 약 3천만 건의 해외 직구가 이뤄졌다. 전년 대비 37% 증가한 양이다. 해외 직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데 비해 이를 처리하는 인력은 그렇게 빨리 늘지 못할 것이다”라며, “블록체인의 이력추적성을 활용하면 현재 5일 정도 걸리는 통관 기간을 이틀 정도로 줄일 수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 이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KISA는 지난해 총 6개 공공 분야 블록체인 시범사업에 42억원을 투입했다. 올해는 12개 시범사업에 126억원을 투입한다.

김 원장은 이어 “공공부문 뿐 아니라 민간 영역에서도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사업 아이템을 선정해 블록체인 기술로 사회가 한걸음 더 나아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ISA는 올해 기부, 공동 ID・인증, 중고차거래 등 세 개 분야 민간 주도 블록체인 국민 프로젝트에 87억원을 투입한다. 김 원장은 “기부금을 모아 관리하는 데에 비용도 많이 들고,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많이 제기된다. 블록체인 기술로 기부금 관리 플랫폼을 만든다면 누구나 쉽고 투명하게 관련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지난해 가상통화 취급업소(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보안 점검을 진행했는데, 올해는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지난해 85개 항목의 체크리스트를 갖고 ISMS에 준하는 수준의 보안 점검을 진행했다. 5개 암호화폐 거래소가 KISA의 ISMS 인증을 받았고, 2곳이 85개 체크리스트를 통과했다”라며, “그런데 가상통화 취급업소(암호화폐 거래소)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이 아니어서 KISA에 법적 조사 권한이 없다. 업체가 현장 확인을 거부하거나 연락을 피하는 경우 점검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헀다.

한편 KISA 인터넷서비스지원본부 데이터안전활용지원단 산하 블록체인확산지원팀이 지난달 15일 블록체인확산지원센터로 승격됐다. 블록체인확산지원센터는 센터장을 맡은 민경식 전 블록체인확산지원팀장을 포함해 9명으로 구성됐다. 채승완 KISA 데이터안전활용지원단장은 “정부 시범사업 진행 과정에서 관계 부처와 협력할 일이 늘어 블록체인확산지원팀을 센터로 승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www.facebook.com/coindeskkorea/posts/2209686285913226

정인선 한겨레신문 정인선 기자입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3년여간 코인데스크 코리아에서 블록체인, 가상자산, NFT를 취재했습니다. 일하지 않는 날엔 달리기와 요가를 합니다. 소량의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클레이(KLAY), 솔라나(SOL), 샌드(SAND), 페이코인(PCI)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