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원 미 연중 의장. 출처=위키미디어커머스
제롬 파원 미 연중 의장. 출처=위키미디어커머스

미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를 향한 첫발은 여전히 신중하지만 향후 발걸음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헝다(에버그란데) 그룹의 파산 우려까지 겹쳐 국내 금융시장은 출렁거렸지만 차츰 진정됐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22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내년 중반께 마무리하는 게 적절할 것이라는 점에 위원들이 대체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 착수시기와 관련해선 “고용의 실질적인 추가 진전이 다음 통화정책회의(11월2~3일)때 쯤이면 달성될 것으로 보인다”며 “더 많은 여건을 점검하면서 자산매입 규모 축소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테이퍼링 계획을 오는 11월에 발표하고 실제 시작은 11월이나 12월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국제투자은행들은 테이퍼링 착수 시점보다는 종료 시기가 예상보다 앞당겨진 점에 주목한다. 연준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매달 1200억 달러(국채 800억달러, 주택담보증권 400억달러)의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

테이퍼링 기간이 단축되면 그만큼 통화정책회의 때마다 감축해야하는 채권 규모가 커져 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감축 주기를 월별로 실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달마다 테이퍼링을 진행할 경우 자산매입 축소 규모는 잘게 쪼개지는 대신에 속도는 더 빨라질 수도 있다.

연준의 테이퍼링 조기 종료 시사는 물가상승세 지속으로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해질 경우에 대비한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연준은 이번 경제전망에서 델타변이의 확산 등을 고려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7%에서 5.9%로 낮춘 반면, 물가(개인소비지출) 상승률은 3.4%에서 4.2%로 크게 높여잡았다.

내년 금리인상을 시사한 위원들이 늘어나긴 했지만 큰 의미를 두긴 어렵다는 분석이 많다. 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를 보면, 내년 금리인상을 점친 위원은 이전 7명에서 9명으로 늘어났다. 전체위원 18명의 절반에 달한다. 골드만삭스는 “금리 1회 인상과 동결 위원들의 수가 각각 9명으로 팽팽해 실제 인상 가능성은 불확실하다”고 짚었다.

추석 연휴 이후 처음 열린 23일 국내 금융시장은 연준 회의 결과와 헝다 그룹 악재 등이 반영되며 원화가치가 한때 급락하는 등 출렁거렸지만 큰 충격은 받지 않았다. 원-달러 환율은 0.5원 오른 1175.5원으로 마감했다.

오전 한때 1186.4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달러가 강세를 보인 데다 중국 부동산 재벌 헝다 그룹의 파산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이 6천억원이 넘는 주식을 순매수하면서 투자심리가 다소 진정됐다.

장중 3100선을 위협받기도 했던 코스피도 0.41%(12.93) 내린 3127.58로 장을 마쳤다. 백석현 신한은행 연구원은 “중국 당국이 시장에 유동성을 계속 공급해 중국 증시가 상승하고 헝다 주식도 17% 넘게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미 연준이 연내 테이퍼링을 사실상 공식화한데 대해 국내 금융시장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하면서도, 향후 시장 위험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이날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코로나 재확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 연준의 테이퍼링 개시 논의, 유럽중앙은행(ECB)의 자산매입규모 축소 등 글로벌 차원의 정책 기조 변화가 가시화됨에 따라 우리 경제의 회복세를 안정되게 이어나가기 위한 리스크 관리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헝다그룹 파산 우려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졌는데, 이런 신흥국발 위험요인도 주의깊게 점검하면서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차관은 또 “국내외 금리 상승 등에 따른 가계 상환 부담 증가에 대비해 가계부채가 조속히 안정화될 수 있도록 금융기관별로 관리 목표 준수 여부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금융 불균형 완화를 위한 노력들도 일관되게 추진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