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 파월 크라켄 CEO. 출처=크라켄 홈페이지
제시 파월 크라켄 CEO. 출처=크라켄 홈페이지

가상자산 거래소 크라켄이 이란 이용자들에게 거래를 허용하는 등 제재 위반 혐의로 미국 재무부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2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재무부가 2019년부터 크라켄을 조사해왔다고 전했다. 당시 크라켄의 전직 재무 담당 직원은 자신의 부당해고 소송에서 크라켄이 제재 대상 국가 소재 계정에서 매출이 발생했으며 재무총괄(CFO) 및 규제담당에게 보고했으나 묵살당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때부터 이란 및 시리아, 쿠바 등 제재 대상국 관련 크라켄 계정을 조사하기 시작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크라켄은 벌금형을 받게될 가능성이 커보인다. 재무부 OFAC는 2020년 지갑 서비스 비트고에 제재 위반 183건을 이유로 벌금 9만8천달러를 부과했고, 지난해에는 가상자산 지불 서비스 운영사 비트페이에 제재 위반 2102건을 이유로 50만달러의 벌금을 매겼다. 크라켄과 재무부는 이번 보도와 관련해 아무런 사실관계 확인을 해주지 않고 있다.

미국은 1979년부터 이란 국적자나 기업을 상대로 한 재화 및 서비스의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등 적대국에 대한 제재로 국제사회 내 영향력을 증폭시켜왔다. 미국 중심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서 배제시키는 것도 주요한 수단인 탓에, 은행 등 금융 시스템을 우회할 수 있는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재무부는 지난해 10월 가상자산을 “제재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잠재적 요소”라고 규정하고, 가상자산 기업들이 지리적 수단을 이용해 제재 지역 이용자를 배제시키라고 주문한 바 있다.

제시 파월 크라켄 CEO가 지난달 발표한 자료를 보면, 크라켄은 여전히 이란 등 제재 대상국 소재 계정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이용자 소재지를 보여주는 이 자료에는 이란 1522명, 시리아 149명, 쿠바 83명 등의 수치가 적혀있다.

파월 CEO는 부당한 규제에 맞서싸우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밝혀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러시아 계정을 동결시켜야 한다는 주문이 잇따르자, 파월은 “우리의 미션은 기존 금융시스템에서 배제된 사람들을 가상자산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라며 반대했다. 지난달 보낸 사내 편지에서는 “금융 시스템을 무기화하는 것은 비도덕적이다. 철지난 규제가 사람들을 불공정하게 배제시키는 정부 기관과의 갈등에는 적극 개입하겠다”는 입장을 내기도 했다.

2019년 육아휴직 관련 사내 토론에서 파월 CEO는 “육아휴직은 회사에 부담이다. 자녀는 업무와 무관하며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세컨드잡, 집중을 방해하는 취미, 해로운 중독과 마찬가지”라고 말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