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와 메타버스가 현실에서 활성화하면 사용자들은 어떤 경험을 하게 될까. 블록체인 기업들은 이를 어떻게 대비하고 있을까. 지난 22일부터 23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22)’는 이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커뮤니티에 집중한 스테픈

쉬티 라스토기 망가니(Shiti Rastogi Manghani) 스테픈 마케팅 총책임자는 23일 발표에서 “웹2에서 웹3로 전환할 때 제품보다 커뮤니티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테픈은 사용자들이 대체불가능토큰(NFT) 형태의 운동화를 장착하고 걷거나, 뛰는 행위를 통해 보상을 받는 매커니즘을 보유하고 있다. 출시 1년만에 470만명의 이용자를 유치하는 등 큰 성과를 낸 프로젝트로 꼽힌다.

쉬티 라스토기 망가니(Shiti Rastogi Manghani) 스테픈 마케팅 총책임자. 출처=두나무
쉬티 라스토기 망가니(Shiti Rastogi Manghani) 스테픈 마케팅 총책임자. 출처=두나무

망가니는 “스테픈은 트위터와 디스코드를 통해 초기부터 이용자 기반을 다졌다”며 “커뮤니티로부터 끊임없이 피드백을 받고 참여를 유도하는 행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장 중요한 건 성장이 아니라 한 번 유치한 이용자들을 유지하는 것이다. 모든 블록체인 기업은 제품 품질과 더불어 커뮤니티 구축을 최우선 순위로 다뤄야 한다”고 덧붙였다.

"불편함에 초점을 맞춰라"

글로벌 결제 기업 마스터 카드는 웹3와 메타버스를 바탕으로 한 결제 시장의 확대를 예고했다. 동하오 황(Donghao Huan) 마스터카드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은 “웹3 시대를 대비해 사용자의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민하고 있다”며 “소비자들이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동일한 결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마스터카드는 신용카드를 NFT 형태로 사용하는 전자 지갑을 준비하고 있다. 지갑에서 카드를 자유롭게 열고 토큰과 함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쉬운 결제가 가능할 전망이다. 동하오 황은 “웹3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와 자산을 통제할 수 있는 대신 보안성은 떨어질 수 있다”며 “마스터카드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금융의 미래를 설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동하오 황(Donghao Huan) 마스터카드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 출처=두나무
동하오 황(Donghao Huan) 마스터카드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 출처=두나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마스터카드는 화폐의 범위도 더욱 확장해서 바라보고 있다. 동하오 황은 “(화폐의 개념이) 현금과 은행 잔고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등으로 넓어졌다”며 “데이터나 리워드 같은 것들도 가치교환 수단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는 대체불가능토큰(NFT)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도 새로운 가치교환 수단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화폐 개념의 확대는 메타버스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동하오 황은 “2030년이 되면 85억 인구가 보유한 아바타의 수가 1000억개에 달할 수 있다”며 “마스터카드는 웹3 시대에 사용자들이 겪을 불편함을 예상하고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