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셔터스톡
출처=셔터스톡

뱅크런 위기를 맞은 글로벌 암호화폐(가상자산) 거래소 FTX 사태가 국내 거래소에서는 발생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FTX 본사는 규제 관할이 모호한 역외 조세피난처에 위치한 반면 국내 거래소는 FTT와 같은 자체 토큰 발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코빗 리서치센터의 정석문 센터장은 10일 <코인데스크 코리아>와 인터뷰에서 “FTX 뱅크런 사태를 단순히 유동성이 부족해 발생했다고 보는 것은 결과론적인 분석”이라며 “근본원인은 규제가 모호한 틈을 타 거래소가 토큰을 발행하고 자매기업이 거래소 고객의 자금을 끌어쓴 데 있다”고 짚었다. 

FTX 본사는 지난해부터 조세피난처 바하마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지역은 내국인이든 외국인이든 개인 소득이나 자본 이득에 대한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역외 조세 피난처에서 운영되는 거래소들이 규제 관할 밖에서 자체 발행 토큰으로 렌딩 사업을 벌이다보니 생긴 일이란 분석이 가능하다. 후오비글로벌, 오케이엑스 등도 조세 피난처에 본사를 두고 있는 비슷한 상황의 글로벌 거래소다. 

FTX가 매수자와 매도자를 연결시켜주는 거래소로서의 역할만 했다면 유동성 이슈에 휘말릴 일이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FTX는 FTT라는 거래소 토큰을 발행했다. 이는 미국 내 본사를 두고 있었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미국의 대표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나 크라켄 등은 거래소 자체 토큰을 발행하지 않고 있다. 

국내 거래소의 경우 자체 토큰 발행이 특금법에 따라 금지돼 FTX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업비트·빗썸 등 국내 대형 거래소는 정기적인 외부 감사를 받고 있으며, 예금 잔액이 회원 예치금을 웃돈다. 무엇보다 외부감사법에 따라 국내 주요 거래소들은 내부 렌딩 여부가 감독되고 있다. 

FTX는 나아가 FTT의 자본 효율성을 위해 알라메다에 대출을 감행했다. 알라메다는 대출받은 FTT로 달러 담보 대출을 받았다. 이후 알라메다의 대차대조표상 총자산 대부분은 FTT로 채워지게 됐다. 알라메다가 보유한 58억 달러 상당의 FTT는 총 발행량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TX 이용자들의 자금이 알라메다로 이동해 장기성 자금에 묶여버린 것이다. 채무는 단기성 자금인데 이를 끌어와서 토큰과 지분 투자를 위한 장기성 자산에 넣다보니, 채무자들이 자금을 찾으려할 때 ‘유동성 경색’이 일어났다. 

한편, 바하마 규제 당국은 FTX 디지털 마켓과 관련 당사자의 자산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바하마 증권위원회는 "고객 자산이 잘못 취급되고, 고객 동의 없이 알라메다 리서치로 이전된 정황이 확인됐다"며 "정상적인 거버넌스에 위배되며, 잠재적으로 불법일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