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정치인이 되기 전에 '거리의 변호사'라고 불렸다. 쌍용차 정리해고, 제주 강정마을, 세월호 참사 등 어려운 사람들이 있는 곳이면 그는 어김없이 나타났다. 그런 박주민 의원이 코인데스크코리아 창간 인터뷰에서 "지난 한 해 동안 가상화폐 투기 논란으로 정작 중요한 원천기술이자 활용도가 높을 수 있는 블록체인에 (우리 사회가) 관심을 못 가진 것이 아닌가라는 안타까움이 있다"고 말했다.



거리의 변호사가 어떻게 블록체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지, 질문을 던졌다.

"사람들이 박주민 의원을 바라보는 시각이 사회적으로 재난을 당하거나, 어려운 일이 있었던 사람들을 조명하고, 그 사람들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분으로 기억하는데, 그런 박주민 의원이 첨단을 달리는 신기술에 관심이 있는지, 조금 의문을 가지는 사람도 있을 것 같다."



박 의원은 "처음엔 블록체인이란 기술 자체 보다는, 암호화폐의 거래가 자칫 잘못하면 많은 선의의 피해자가 생기지 않을까란 우려에서 관심을 가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암호화폐를 들여다 보면서 그는 오히려 블록체인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그는 "오히려 요즘엔 블록체인이란 기술 자체에 관심이 있는데,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불신을 가지고 있는 영역이 있고, 그 불신 때문에 더 발전하고 보강되어야 할 영역이 지체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그가 사례로 든 영역은 '복지'였다. 박 의원은 "복지혜택이 부적절한 곳에 나눠지고, 나눠진 복지가 잘못 쓰이고 있다는 우려를 국민들이 하고 있다. 그래서 복지제도가 공개와 공유를 통해 보안이 유지되는 이 기술(블록체인)과 연결되면, 누구에게 (복지혜택이) 공급됐고, 어떻게 쓰였는지를 투명하게 공개되고 공유될 수 있다"며 "그런 것을 통해 불신이 해소되면 그 다음 단계의 복지로 가는 데에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런 차원에서 (블록체인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결국 블록체인이란 새로운 분야에 대한 관심이라기 보단, 그가 늘 고민하던 영역을 더 개선하려는 차원에서 갖게 된 관심이었다.



박 의원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국회의원에게 후원한 분들에게 블록체인 기술로 들여다 볼 수 있게 (권한을) 드리는 것이 어떻냐"며 "장부를 드려서 정치후원금이 어떻게 빠져나가는지 실시간을 볼 수 있으면, 정치적 불신을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박 의원은 정치후원금이 어떻게 쓰이는지 상세하게 설명하는 '돈 달라는 남자'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찍어 정치후원금을 모집했다.



박 의원은 "아직 블록체인 기술을 가지고 국내 산업에서 상품을 만들려고 한다든가, 이런 (산업적) 시도가 활발하진 않은 것 같다"고 진단하며 "블록체인이란 다수 당사자가 참여함으로써 보안성이 높아지는 기술인데, 참여하는 사람들이 이익을 균등하게 나눠 가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이 생태계가) 활성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만일 규제가 이뤄진다면, 그런 생태계가 이뤄질 수 있도록 규제되는 방식을 고민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블록체인이 현재까진 그 부산물인 암호화폐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한겨레가 시도하는 이 매체(코인데스크코리아)가 그런 우려는 줄이고, 기술의 성장에는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