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르스키 칼률라이드 에스토니아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더시그니처 제공

"비트코인이 지금 얼마인가? 빅맥을 몇개를 살 수 있나? 아무도 모른다. 그게 문제다. 즉 경제 가치를 알려면 경제적 효용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아무도 대답할 수 없다."

한국에 방문한 케르스티 칼률라이드(Kersti Kaljuaid) 에스토니아 대통령이 10일 “암호화폐의 경제적 효용성에 거품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칼률라이드 대통령은 이날 오전 매일경제가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주최한 세계지식포럼 기조연설에서 “경제의 기본은 돈을 이용한 가치 측정이다. 실물화폐와 달리 암호화폐로는 자산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사실 비트코인을 떠받치는 기저경제에 대한 정확한 예가 없다"며 "블록체인 기술, 토큰 자체만 봐서는 건설적 가능성이 있는 건 사실이나 현재로서는 디지털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암호화폐는 실물화폐가 아니다. 에스토니아는 유로존 소속 국가로서 유로화를 법정화폐로 사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2017년 8월 국가 차원의 암호화폐 발행을 검토했으나 유럽 은행권의 반발로 철회했다.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에스토니아 대통령과 오트 베터 이레지던시 부대표가 10일 오전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더시그니처 제공

 

칼률라이드 대통령은 포럼 기조연설에 이어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에스토니아의 전자정부 시스템이나 전자영주권 시스템은 암호화폐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기술과 유사한 분산저장 기술을 활용하고 있을 뿐, 전자정부 시스템과 블록체인 기술 그리고 암호화폐는 별개라는 이야기다.

다만 그는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비용 문제로 아직 많은 공공서비스에 활용하고 있진 못하지만, 개인정보의 교환이 필요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강점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2007년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경험한 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2012년부터 보건, 사법, 입법, 보안 등 공공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일부 도입했다.

그는 분산화된 서버에 개인식별정보를 저장한 뒤 필요한 기관과 공유하는 전자신분증 제도를 소개하며 “에스토니아 금융거래의 99%, 세금신고의 95%가 디지털로 이뤄진다. 이젠 시민들이 공공 서비스를 받기 위해 관공서에 가 줄을 설 필요가 없어져, 한 사람당 평생 4~5일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디지털 사회로 성공적 전환을 하기 위해 개인 차원의 노력과 법・제도의 뒷받침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들 스스로가 자신의 정보를 엄격히 관리해야 한다며, 공중 위생에 빗대 '사이버 위생(cyber hygiene)’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앞서 에스토니아 정부는 지난 2월 경기도와 경제협력 MOU를 맺고 블록체인과 관련한 경험과 기술을 공유하고 민간 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정인선 한겨레신문 정인선 기자입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3년여간 코인데스크 코리아에서 블록체인, 가상자산, NFT를 취재했습니다. 일하지 않는 날엔 달리기와 요가를 합니다. 소량의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클레이(KLAY), 솔라나(SOL), 샌드(SAND), 페이코인(PCI)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