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리 갠슬러 SEC 위원장. 출처=미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웹페이지 캡처
게리 갠슬러 SEC 위원장. 출처=미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웹페이지 캡처

게리 갠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디파이(DeFi·탈중앙금융서비스)가 규제의 보호를 받지 못할 경우 불행한 종말을 맞게 될까 두렵다(And without protections, I fear that it's going to end poorly.)”고 말했다.

그는 25일 야후 파이낸스의 올 마켓 서밋(All Market Summit) 행사에 참석해 “(디파이에서) 엄청나게 많은 대출과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며 디파이 규제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갠슬러 위원장은 이날 “디파이 산업은 가상자산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분야 중 하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규제를 피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디파이는 15년 전 P2P 대출이 등장했을 때를 생각나게 한다”며 “규제 당국이 P2P 대출을 투자자 보호의 규제 안으로 끌어들이는 데 3~5년이 걸렸는데 지금 디파이에서 그런 걸 보고 있다”고 말했다.

디파이의 핵심 중 하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이는 달러나 유로 등의 법정화폐와 1:1 관계로 가치가 고정된 것으로 알려진 가상자산을 말한다. 갠슬러 위원장은 스테이블코인도 은행처럼 규제를 받아야 하느냐는 질문에 “지금 SEC가 바로 그 일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현재 시장에 약 1300억 달러 상당의 스테이블코인이 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10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라고 했다. 또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거래소와 대출 플랫폼 안에서 […] 거래량의 80%를 이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러한 수치는 시장에서 굉장히 많은 투기가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뜻하기 때문에 투자자 보호를 위해 디파이를 규제 안으로 들여오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갠슬러 위원장은 “그래서 나는 진심으로 여기(디파이)서 해야 할 일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디파이 규제 필요성에 대한 갠슬러 위원장의 언급은 늘고 있다. 이달 초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서도 “탈중앙화 플랫폼으로 불리는 디파이 플랫폼 안에도 중앙적인 플랫폼이 작동하기 때문에 탈중앙화 거래소들(덱스ㆍDEXsㆍdecentralized exchanges)도 규제 대상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코인데스크 US는 “가상자산 산업에 대한 갠슬러 위원장의 이해가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갠슬러 위원장이 이해가 계속 넓어지고 있다(Gensler also expanded on his understanding of the SEC’s authority to regulate the crypto industry)"고 평했다.

지난 8월 중순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선 “일부 디파이 플랫폼은 SEC가 규제하는 P2P 대출 플랫폼과 비교될 수 있다”며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가치 있는 토큰이나 유사한 인센티브로 보상하는 디파이 프로젝트는 아무리 ‘분권’되어 있더라도 규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