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크루그먼. 출처=Paul Krugman Teaches Economics and Society
폴 크루그먼. 출처=Paul Krugman Teaches Economics and Society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저명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이 가상자산 산업이 “포스트모던 피라미드 사기”가 돼버렸다고 혹평했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인 크루그먼은 12일 칼럼에서 가상자산 산업이 실체보다는 유명인사와 전문용어로 떡칠한 마케팅으로 규모를 키워왔다고 비판했다.

“내가 보기에 크립토는 포스트모던 피라미드 사기로 진화했다. 기술 전문용어와 자유주의식 조어를 조합해 투자자들을 현혹시켰다. 그렇게 모은 돈으로 뭔가 훌륭해보이는 환상을 샀고, 이를 통해 더 많은 투자자를 유치했다. 한동안 위기 요소는 곱절씩 커져갔지만, 크립토는 실질적으로 너무 커져버려서 규제하기도 힘들어졌다.”

크루그먼은 미국의 모바일 결제·송금 서비스 벤모(Venmo)를 예로 들었다. 벤모 앱에선 홈(Home), 카드(Cards) 메뉴 다음에 크립토(Crypto) 메뉴가 배치된다. 크루그먼은 “크립토는 (벤모에) 틀림없이 중요한 비즈니스”라며, “당연히 금전적 보상이 관련됐을 것이다. 사람들이 벤모에서 크립토를 매매할 때 플랫폼이 버는 돈이 얼마인지는 모르지만, 순수한 선의에서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 아닐 것”이라고 지적했다.

크루그먼은 또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에 대한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유명 대학들의 예를 들었다. MIT의 온라인 코스 수강료는 3500달러 수준이다. 그는 디지털커런시그룹(DCG) 같은 크립토 업계의 큰손이 글렌 허친스 브루킹스연구소 공동의장을 이사회 구성원으로,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을 고문으로 각각 두고 있다는 것도 지적했다. 이 같은 화려함의 비용은 결국 투자자들의 지갑에서 나왔지만 정작 그 실체는 모호하고 규제는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크루그먼은 과거에도 가상자산 산업에 회의적 입장을 밝혀왔다. “비트코인은 사악하다”는 2013년 칼럼이 대표적이다. 지난 1월에는 ‘크립토는 어떻게 새로운 서브프라임이 되었는가’라는 칼럼으로 크립토발 금융위기 가능성을 거론했다.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