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세계경제포럼 홈페이지 갈무리
출처=세계경제포럼 홈페이지 갈무리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가상자산)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인사들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미래 전망은 앞으로 제정될 규제에 달려있다고 입을 모았다. 

WEF는 주요 정상들과 유수의 학계, 시민사회 리더들이 모여 국제 현안을 논의하는 민간 주도의 국제회의다. 올해는 18~19일(현지시각) 스위스에서 ‘분열된 세계에서의 협력’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디지털통화 거버넌스 컨소시엄 관계자인 단테 디스파르테는 “금융권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역할을 인정한다”며 “암호화폐의 미래는 규제 전망에 따라 갈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은 나쁜 플레이어가 사용했을 때 피해를 양산할 수 있다”면서도 “현대 경제 툴킷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크립토 윈터를 닷컴 버블에 비유하면서, 시장 악화가 오히려 업계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더불어 "금융 서비스 부문에서 암호화폐 사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암호화폐 약세장과 부실 거래소의 붕괴는 결국 업계에 자정 작용을 하며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티모 하라카 핀란드의 교통통신부 장관도 “웹3 세계에는 새로운 플레이어가 많지만 기존 법률로는 이들을 규제할 수 없다”며 “이제는 국제적 차원의 규제 법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다오(DAO, 탈중앙화 자율조직)가 많이 생겨나고 있지만 이들과 관련된 법안은 없다”며 “유럽은 그간 온라인 프라이버시를 통제하는 방법에만 몰두했지만 이제는 획기적인 법안을 마련해 웹3 세계로 가야한다”고 설명했다. 

정책 마련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라구람 라잔 전 인도중앙은행(RBI) 의장은 “암호화폐는 새로운 기술의 등장이고 우리는 아직 이 기술의 한계를 보지 못했다”며 “각국은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를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투기 자산으로써 암호화폐는 마땅히 벌을 받았다”며 “그렇다고 암호화폐의 기반이 되는 모든 기술까지 벌을 받아야하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블록체인 분야에 지나치게 광범위한 규제 접근 방식은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리 슈나이더 아바랩스 법률 고문은 “금융 상품, 스테이블코인, 대체불가능토큰(NFT) 등이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여도 엄연히 다르다”며 “일본이나 홍콩 같은 국가에서 모든 암호화폐가 하나의 동질적인 자산군이라고 묶는 것은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BTC(비트코인) 가격 전망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미국의 유명 헤지펀드 스카이브릿지 캐피탈의 앤서니 스카라무치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암호화폐 시장은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올해 출시되는 새로운 BTC 공급이 한정돼 가격을 끌어올리면서 연초 랠리가 지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코인 시장 회복 전망에 대해 강세를 예측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글로벌 경기에 대해선 침체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WEF는 1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경제학자들의 68%가 올해 글로벌 경기가 침체 국면에 빠질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발표했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답한 경제학자 비율은 18%로 지난해 9월 실시한 조사보다 두배 이상 많은 수치가 집계됐다. 더불어 올해 세계 대부분 국가들이 작년과 동일한 긴축 통화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지난해 9월 WEF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크립토 지속가능성 연합’을 출범시켰다. 아발란체, 서클, 솔라나 등 웹3와 암호화폐,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30개 기업·단체로 구성됐으며 향후 암호화폐 채굴의 친환경 과제, 웹3 기술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한다.

 

관련기사

제보, 보도자료는 contact@coindeskkorea.com
저작권자 © 코인데스크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